말이 정말 많은 부분이다. 피계 스케이트 심판의 공정성을 가지고도 논란의 여부가 많은것은 사실이지만, 2명의 선수가 옆에 나란히 서서 같은 품새를 하는데 한번에 다 기술적인 정확성을 찾아내서 비교하고 점수를 공정하게 준다는게 아무리 훈련이 많이된 1급 심판원들에게 얼마나 가능한 일인지 모르겠다. 품새 교육및 정확한 기술의 구현에 관련된 몇시간가량 분량의 대태협 비디오를 본적이 있는데, 정말 이해가 가긴 하지만 실제로 얼마나 정확한 판정을 할수 있을까 하는 궁금한점이 더 많이 드는 부분들도 많았다.
태권도 품새대회의 국제화를 위해서 엄격히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지만, 실제로 인간의 한계 내에서 공정성이 얼마나 실현될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한명의 선수를 세워두고 여러명의 심판이 부분별로 세분화 해서 만점에서 감점만을 부여하는 식으로 대회가 진행된다면 공정성이 그나마 향상될수 있을지 모른다. 옆차기를 하는데 지지발의 회전 각도, 발날의 모양, 발끝의 높이, 시선의 기준등을 한번에 다 보고 평가를 순간적으로 진행한다게 사실 얼마나 힘든일인지 품새를 잘하는 선수들을 보고 있으면 느낄수 있다.
겨루기의 공정성을 위해서 전자호구가 도입이되고, 경기장의 크기가 줄어들어서 긍정적인 결과도 많이 창출했지만, 재기차기 같은 변칙적인 점수 올리기 발차기따위를 낳게되는 문제를 가져오기도 했다. 꾸준히 연구하고 보완해야 할 부분인데…
가라데의 가타같아 보이는데 정확히 무슨 무술인지는 무르겠음. 아무리 형(形)을 엉성하게 해도 대충 무슨 동작이 어떻게 그리고 왜 그렇게 되는지를 짐작할수 있는데 이 비디오를 처음보고 마시던 커피를 다 뿜었음… 참 모두들 열심히는 하는것 같은데 도대체 뭘 하는지는 모르겠음…
Updated (2015.07.09): 원래 올렸던 비디오가 없어져서 관련있는 비디오를 유투브에서 올립니다. 맞추기 대련 발차기 하는건 그냥 눈감고 봐주겠는데 마지막에 그룹으로 하는 Kata는 가관임. 누가 장난으로 Street Fighter 음악과 파동권 에니메이션까지 집어넣어서 장난쳐 놨는데 그냥 보시길….에구…
Updated (2015.07.27): 페이스북에 예전에 올라왔다가 사라진 비디오를 누가 다시 올려서 링크 겁니다. 그냥 마음을 비우시고 한번 봐 보시길…
Updated (2020.09.09): 예전에 올라왔던 영상들이 이젠 없어졌네요. Embed된 비디오는 내립니다…
국기원에 추천인 자격으로 단/품증을 발급하려면 도장이 있어야 한다. 집에 있는 큰 차고를 고치고 Kim’s Taekwondo Academy라는 명칭을 걸고 USA Taekwondo에 정식 도장으로 등록을 하고 엇그제 국기원 K.M.S. 등록도 마쳤다. 영리 목적으로 수련생들을 모집하는건 아니고, 내 가족부터 시작해서 주변의 태권도 지인들과 함께 수련비 없이 같이 수련하려고 만들어가고 있는 일종의 동아리라고 보면 되겠다.
기존에 나가던 도장에서 이일을 할 수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국기원에서 지정하고 WTF에서만 받아들여지는 태권도는 싫고, 중앙도장에서 발행하는 단증따윈 의미가 없다. 대세는 이종격투기이고 주지쯔가 최강이다.”라는 답을 받고 내가 나왔어야 했다. 즉, 단수도 낮은 내가 추천인의 자격으로 (다른 관장/사범님들은 국기원 단증이 없다) 도장을 등록하는게 싫었을테니깐 이해가 가기도 한다.
아뭏든 내가 도장을 그만두고 아이들과 함께 주중에 3번정도 나가서 운동을 함께 했는데 이제 딱 한달이 지났다. 그꼴이 그렇게도 보기 싫었나보다. “주변 소문에 도장 차렸다고 하던데 (체육관이 없고, 사업차원에서 하는게 아닌 취미 동호회라고 설명했다) 그럼 여기와서 운동하지 말게.”라는 한마디를 듣고 아이들과 함께 쫒겨났다.
84년도에 처음 태권도를 배울 당시에도 겨울철에 입던 트레이닝복은 있었다. 단체로 체육사에서 맞추어서 수련생들이 전부 입었었는데 (1만 8천원정도 였던걸로 기억된다. 국기원 1품 심사비가 3만원이였으니, 적은돈은 아니였다) 트레이닝복 안에 도복을 입고 있다가 준비운동과 가볍게 발차기를 하고나서 몸에 땀이 나기 시작하면 트레이닝복은 벗고 도복을 계속 입고 수련했었던 기억이 난다.
초등학생의 어린 신분이였지만, 깜박하고 내복을 도복안에 입고 수련을 하러 왔다가 사범님께 죽도로 얻어맞았던 기억도 난다. 수련이 끝나면 물걸래로 도장의 바닥을 깨끗하게 닦고 사범님께 인사드리고 나가곤 했다. 무도라는게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예절과 도리를 갖춘 사람의 됨됨이를 먼저 만들어가는 예술이라고 배웠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별다른 반감을 갖어본적이 없다.
요즘 한국에서 본 태권도 도장들은 무예를 연마하는곳 이라기 보단, 일종의 예능학원으로 변모한것 같아서 보기가 안쓰럽다. 차량 운전은 모든도장에서 기본이 되어버렸고 학교 하교길에 학생들의 가방을 들어주기 위해서 나가는 사범님들까지 있다고 들었다. 도장에서 수련을 하러 오는데 트레이닝복부터 시작해서 평상복차림에 띠도 두르지 않고 수련을 하러 오는 학생들도 많다. 소규모 가족으로 구성되면서 갖은 귀여움및 사랑을 받아가며 온실에서 어려움 모르고 자라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다 보니, 진정한 무예인의 자세로 차랑운전없고 주말 이벤트를 하지 않는, 무예만 연마하는 태권도 도장을 차리면 이런곳에 아이를 보내는 학부형의 수는 적으리라…
무토에서 내놓은 기획상품인 하계 수련복을 오늘 처음 보았다.
평상복을 입고 수련을 하는것보단 낳겠지만, 도복은 평상복처럼 편하게 입고 활동하라는 의미에서 만들어진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도를 닦는 승려들의 복식이 티셔츠에 청바지를 입는것보단 절대 편하지 않다는건 어떻게보면 당연한게 아닐까. 무도는 영어로도 Martial Arts이다. 자기 자아를 찾고 개발해 나가는 예술인 셈이다.
하계 수련도복이라는 상품이 개발되어 나오는 배경은 한국이라는 문화와 사회의 특성을 안다면, 충분히 이해가 안되는것도 아니다. 아이디어 상품으로 존폐를 좌우하는 치열한 경쟁사회와 남들이 하면 다 따라 하지 않으면 도퇴되어 사라지고 만다는 불안심리때문에 이런게 가능하리라. 단순히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런 상품… 태권도의 본 의미와는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Fair warning to Non-Korean speakers: Please don’t bother with Bing/Google translator hoping to understand what I wrote on this page. Butchered translation from either Bing or Google won’t resolve your curiosity.
지난 6년간 근무해오던 체육관의 관장님이였던 짐 페카씨가 2013년 3월 한 주말에 심장마비로 돌아가셔버린 일이 발생하였다.
본인도 나이가 그리 많지 않았던 까닭에 도장 경영에 관련된 정보를 남들과 함께 공유하는 편이 아니였고, 50중반의 나이에도 결혼을 한적이 없어서 처나, 자식도 없이 혼자 외로이 지내는 사람이였다.
이런 관장님이 느닷없이 유서 한장도 없이 심장마비로 돌아가시는 바람에 체육관 소유권 이전과 경영에 관련된 문제로 지도관장님과 사범들간의 상의가 장례식이 치러지는 와중에도 계속 되었는데, 나름 체육관의 경영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재정과 관리에 관련된 상황만 잘 파악되면 한국에서 돌아옴과 동시에 함께 동업형식으로 체육관을 함께 운영해보자고 지도관장님과 대충 합의를 보고 한국길에 올랐다.
부모님의 건강문제로 한국에 방문을 한것이였지만, 운동은 계속 하고싶어서 귀국할때마다 찾아뵙는 현동수 관장님의 체육관에서 운동하면서 좋은 지도를 많이 받고 국기원에서 특심까지 보는 좋은 경험을 하며 나름대로 알찬 3주를 보내고 기쁜 마음으로 귀국을 할 수가 있었다. 귀국해서 뉴욕 JFK공항에 도착한게 일요일새벽 이였고, 4월 15일 월요일 저녁 6시-9시부 수련을 학생들과 함께 하려고 체육관에 도착을 했는데…
뭔가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기 시작한게 이때 이다.
3주간 한국 방문때문에 수련시간에 못나온다고 수련생들에게 다 설명해 주었는데, 로버트라는 중학교 수련생 하나가 (개인적으로 날 참 잘 따르는 학생이였다) 나에게 대뜸 “다시 사범님으로 운동 함께 하실 계획은 없는건가요?”라고 대뜸 묻는것 아닌가?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지 전혀 파악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2시간 가량 수련생들과 함께 운동을 하고 지도관장님이 책상에서 업무를 보고 있어서 인사를 드릴려고 갔더니 책상에 이미 자기 이름으로 “총 관장”이라고 직함을 찍어서 명함을 새로 파놓고, 20세의 젊은 여자 사범인 브리짓의 이름에 “체육관 관리 지배인”이라고 명함을 만들어서 올려놓은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예전관 달리 그다지 반가워 하지 않는 눈빛으로 나를 대하면서 처음 하시는 말이 가관이었다. “이번엔 국기원에서 뭘 어떻게 배워와서 여기와서 또 뜯어고칠 생각인가?” 였다. 기존에 운영하시던 관장님도 돌아가셨고, 사실 80년대부터 누가 정확히 만든 태권도 지도법에 품새인지를 알수 없는 현존의 교육내용을 개선하는 의도에서 팔괘품새와 창작품새를 버리고 태극품새를 지도하도록 하고, 고주류 가라테같은 넓은 폭의 서기는 바뀐 태권도 서기로 수련생들을 지도해,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보급된 한국 태권도를 가르키는게 옮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4년동안 피땀으로 수련생들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얻어내는 1단 단증은 USAT나 WTF주관 행사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는 엉터리 단증이니, 정식 국기원 단증을 발급해서 수련생들을 대회도 나가보도록 장려해서 경험을 키워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생각해 보지…” 라고 짧은 한마디로 대화가 끝났다.
도복을 개서 손에 들고 체육관 문밖을 나서니 학부형 하나가 내게 말을 거는데 그 서두가 “뭐 정치적인 문제에 개인적으로 개입하고 싶진 않지만…” 이였다. 3주만에 도장을 처음 나가서 수련생들과 학부형들을 대했고, 운동이 끝날때까지 지도관장님과는 한마디의 대화도 하지 않았는데, 왜 저런 말들을 걸어왔을까…
집에와서 지난 6년간 짐 페카 관장님과 함께 한 시간들을 되돌려 보았다. 체육관 관인도 없어서 도장을 내가 새로 파주었고, 단증이나 승급증은 어떻게 꾸미고 도장을 어떻게 찍는건지, 15세가 안된 학생들에겐 검은띠를 줘서는 안된다는 것부터 품띠라는걸 도장이 생긴후로 처음 소개를 했고, 붉은색이 아래로 내려가게 띠를 묶어야 한다는것 까지 여러 부분을 조금씩 바꿔나간게 사실이였다. 아이들 소꿉장난처럼 구질구질하게 만들어져 있는 웹사이트도 내가 새로 만들어 주었다. 돈 한푼 받지않고. 도장을 바르게 홍보하면서 좋은 내용으로 올마른 태권도를 가르쳐야 한다는게 내 생각이였고, 정식 사범도 아니면서 자원봉사나 다름 없는 자격으로 이렇게 노력하고 신경써 주는 나를 짐 페카씨는 참 좋아했었다. 연말엔 아이들 선물까지 사주면서 우리 가족 전체를 그렇게 잘 챙겨주었는데 난 이런 대접을 받으면서 체육관의 다른 직원들도 나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을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아마 그게 잘못된 생각이였나 보다.
짐 페카씨가 돌아가시고, 내가 자리를 비움과 동시에 제거해야할 인물로 내 이름이 분명 거론 되었을 것이다. 항상 눈에 거슬리는 존재로 생각했을 테니까… 얼마전에 알게 된 내용 이지만, 유한회사 법인 승인부터 세무관련 내용까지 도장인수는 4월초에 이미 마무리가 되었다고 한다. 모든 결정이 다 끝난 상태에서 내가 귀국을 한것이였다. “이제 필요없으니 도장 그만 나오게”라는 말을 하고 싶은데 다짜고짜 그런 말을 하면 자기 인상만 구기니 체면을 살리기 위해서 별다른 말을 못하고 그냥 집에 보낸것 이겠지…
4월 16일 아이들과 함께 운동을 하러 체육관을 나갔다. 수업엔 신경 안쓰면서 도장 구석에서 내 아이들과 몸풀기와 미트 발차기만 하고 있었다.
지도 관장님이 날 보더니 잠깐 이야기좀 하자고 한다. 한숨을 쉬더니 대뜸 이런다. “기존 사범들이 이런식으로 오랜동안 운동을 해왔으니 지도 방법을 바꿀 생각은 없네. 정통 태권도도 좋고 어딜가던지 인정받는 태권도도 좋겠지만, 난 돈벌이가 되는 McDojos (미국에서 상업적 목적만 두고 운영되는 사이비 무술도장을 비꼬아서 하는 말이다) 를 운영하는게 꿈이야. 태극 품새같은것도 말야 밋밋하고 재미가 없는데 그런것보단 발차기 많이 들어가있는 창작 품새가 학생들에겐 좋지. 뭐 생각이 다를테니 아이들 지도하라고 하진 않겠네. 뭐 그만두던 말던은 뭐라고 할수 없지만, 뭐 도장에서 일 있고 심사보고 그러면 같이 나와서 일좀 해주고 그러면 좋겠는데, 이젠 학생들과 함께 운동못한다고 다 때려치고 나가거나 그러진 않겠지?” ..라고 하면서 피식 웃는다. 나가지 말라고가 아니고 “이정도 설명해 줬으니 자네 발로 스스로 걸어나가게. 내 체면을 봐서라도…”가 본 의미이겠지만.
2007년 아이들과 처음 도장을 나가서 학부형의 입장으로, 또 1년 계약을 하면서 몇백만원의 돈을 수련비로 내면서 물어보았었다. “이곳의 서기와 숨쉬는 방법, 그리고 출처를 알수 없는 변형품새들에이 참 보기 그렇습니다. 그건 그렇다 해도 카마나 사이같은 정말 현실성 없는 무기는 왜 가르키시는 건가요?”라고… 지도 관장님의 답변은 간단 명료했다. “내가 원래 당수도 출신인데, 나도 사실 여기 교육내용은 맘에 안들어. 내가 관장이면 이런거 다 때려치고 정통 태권도를 가르치겠어.” 짐 페카 관장님이 돌아가시고 체육관 소유권 문제로 긴급회의에 들어갔을땐 “난 이미 정년퇴직할 나이고 플로리다로 이사갈 준비도 되어있으니 내가 체육관을 인수한다는건 불가능 하네. 내가 도와줄테니 젊은 사범들간에 함께 뭉쳐서 잘 해봐”라고 말을 하면서 내겐 걱정하지 말고 한국을 다녀오라고 말도 했었다.
4월 17일 지도관장님이 페이스북에 글을 하나 올렸다. “내리기 힘든 결정이었지만 올바른 용단을 내렸다”라는 한줄 이였다.
이미 오래전에 결정을 보고 다른 사람들과 입을 맞춘 내용을 이 날에 와서 세삼스럽게 결정했다고 말하는것은 우습지만, 날 체육관에서 내보낸게 용단이라고 자찬을 하는것엔 시비를 걸고 싶지 않다. 어차피 난 정규고용직도 아니였고 태권도가 좋아서 도장에서 모든 일을 다 해주면서 수련도 함께 해준 아버지 봉사자 였을 뿐 이니깐. 그렇지만 “올바른 용단”이라는 오만한 발언은 인정할수 없다.
사람 살아가는데 배신도 있고, 오해도 많으리라.
허나, 앞에 놓인 이득에 눈이 어두워 함께 해온 사람들까지 다 벼랑으로 밀어 떨어트리면서도 눈하나 깜짝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는건 사실 이번에 처음 경험해 본다.
난 태권도를 생계유지 수단에 사용하는 잡기라고 생각해 본적이 없다. 초등학교 시절 국기원 승단심사비를 어머니가 내 주실수 없어서 수년간 빨간띠만 차고 운동을 하면서도 행복했고, 대학교때 동네 도장에서 어린 학생들과 함께 운동을 하면서 중고등학생들이 부러워 할정도로 내 뒤후리기와 옆차기는 멋졌었다. 20대 후반에 미국에 와서 정착을 하면서 생계유지에 목숨을 걸면서 30대 초반까지 10년 가까이 운동은 전혀 하지도 못하면서 하루 16시간씩 일하고 돈만 벌었다. 집엔 내가 보살펴야할 아이들이 있고, 나를 믿고 따라와주는 아내가 있고, 미국까지 와서 비참하게 실패해서 부모님께 더 불효를 할수가 없었기 때문이였다.
삶의 기반이 좋아지고 다시 운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을뗀 이미 몸이 망가진 후란걸 알게되었다. 30대 중반의 나이에 퇴행성관절염에 고관절 무혈괴사증까지 있다. 반 병신인 셈이다… 아파서 잘 걷지도 못하게 힘든 날도, 직장을 구할수가 없어서 수입이 전혀 없어 하루하루가 비참했던 그런날도 내 곁에서 나를 강하게 이끌어 줬던것이 한국인이라는 자긍심이였고, 비록 수련을 할수는 없었지만 태권도였다. 난 그래서 태권도가 좋다.
집사람과 창고 정리를 시작했다. 필요없는 물건 다 버리고 차가 두대나 들어가는 차고이니, 벽좀 손보고 바닥 새로 깔아서 아이들과 함께 운동을 하는 가족 태권도장을 함께 만들자는 집사람의 요구 때문이다.
태권도 클럽을 이렇게 시작해서 비영리 태권도장을 한번 내가 차려서 운영해볼 생각이다.
일단 아이들과 집사람부터 똑바로 가르치면서 함께 운동해야 겠다.